[기획]감염병 시대, 병원과 의료시스템은 어떻게 바꿔야 하나?
상태바
[기획]감염병 시대, 병원과 의료시스템은 어떻게 바꿔야 하나?
  • 박해성 기자
  • 승인 2020.05.11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HC 온라인 컨퍼런스]포스트 코로나,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1부]감염병 시대의 병원운영 및 의료시스템
이왕준 이사장
이왕준 이사장

세기적인 문명사에서 코로나는 21세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억될 수도 있다. 지금은 2차 대유행을 앞둔 과도기로, 전체적인 시스템 점검이 필요한 때이다.

코로나 방역을 위해 시행한 한국의 4가지 전략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첫 번째가 정부가 기조로 삼은 투명성과 공개성이다. 이는 메르스 사태 이후 가장 반성했던 부분으로, 민주주의적 통제구조하에 투명성과 공개성을 높였다. 여기에는 시민들의 능동적 참여가 한 몫을 했으며, 이는 다른 나라들과 확연히 다른 부분이다.

두 번째는 봉쇄 또는 차단 전략과 완화 전략을 동시에 병행했다는 점이다. 우선 봉쇄를 시행하고 여기서 해결이 안되면 완화 전략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우리나라는 두 가지 전략을 병행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광범위한 진단검사 능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끝까지 추적해서 작은 잔불까지 꺼나가는 전략이 유효했다. 지역사회에서의 폭발적인 전파를 방지한 것에는 의료계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세 번째 전략은 분류 체계와 치료시스템을 창의적으로 구축한 것이다. 정부와 공공의료, 민간의료가 모두 잘 어우러졌기에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했다. 대구·경북 지역의 대유행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을 맞았으나 이후 여러 전략을 통해 성공적인 방어를 이뤄냈다. 여기서 감염병 관리체계, 특히 진료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됐다.

스크리닝과 추적 관찰 시스템이 네 번째이다. 1월초 첫 환자가 발생됐을 때 병원협회는 중증과 경증을 초기에 분류하고 중증은 병원에서, 경증은 병원이 아닌 제3의 시설에서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 환자 중 경증환자 및 무증상환자가 80%, 중등도 이상 환자가 20% 정도의 비중을 나타냈다. 80%의 경증환자를 생활치료센터에서 담당하도록 전략을 세우며 중환자 진료에 집중할 수 있었고, 이는 유효했다.

이제 2차 대유행을 대비하기 위한 국가 감염병 전달체계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 단기적 차원에서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쟁점사항에 대해 얘기하고 구조적인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 지난 4개월의 경험을 통해 진료역량을 통제할 수 있는 통합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았다. 질병관리본부는 방역 중심의 관리시스템 역할을 했으며, 대구·경북 지역 등의 경우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됐었다. 진료 부문에서 개별 병원들을 통제할 수 있는 콘트럴타워가 부재했다.

다양한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해 환자 배치 및 자원 동원 계획을 수립하는 등 다음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중환자 관리도 역량 높여야 하고, 수가 문제도 새로운 개념의 보상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격리병상 운영을 위해 인력과 자원을 쏟아부으며 최소 3~5배의 비용이 소요됐다. 단순히 병원들의 자발적 협조로 이뤄질 수는 없는 부분인 것이다. 선별진료소도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재정비해야 한다.

향후 감염병 진료체계는 3단계로 구성돼야 한다. 1단계는 중앙&권역단위 레벨로, 국가중앙감염병센터 100병상, 호남·영남·중부 권역별 감염병센테 각 50병상씩 총 250병상을 마련해야 한다. 권역센터에 활용할 인력을 준비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2단계는 지역단위 레벨로, 국가지정격리병상 감염병 거점병원 29+α개, 지역기반 감염병 전담병원 200여개(300병상 이상 종합병원)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3단계는 1차진료 레벨로, 개원가와 중소병원이 담당한다. 중소병원은 외래 단위에서 열성 호흡기 외래센터를 구축하고, 의원은 전용 클리닉을 마련하면 된다.

명지병원의 사례에서처럼 감염병 진료를 위한 완전한 독립된 건물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병원내 모든 시설에 감염병 존을 구분하고, 응급실에 음압시설을 갖춰야 한다. 환자들의 출입 동선을 구분하고, 수술실과 혈관조영실을 듀얼 트랙으로 운영하며, 즉각대응팀을 운영한 것이 유효했다.

코로나의 핵심이슈는 중환자실 관리이다. 그만큼 의료기관의 중환자 관리 역량이 중요하다. 메르스 때는 응급실 역량이 중요했었다. 중환자실의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료체계를 위한 자원 확보가 필요하다. 인력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후속체계(이송체계) 또한 중요하다. 정부는 법적·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중앙집중식 원격 중환자 치료 모델의 개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중환자 관리에는 획기적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며, 수가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공공의료적 성격임을 인지해 등급제나 중등도 따른 가산제 등을 논의해야 하며, 중환자실(1인실) 모형 개발, 의료진 양성을 위한 인센티브 도입 등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정리 : 박해성]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