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본격 가동
상태바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본격 가동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0.04.24 10: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범정부 지원단 제1차 회의 개최, 산‧학‧연‧병 상시 협업체계 가동키로

정부는 4월 24일(금)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지원단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동향을 점검하고, 연구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추진 계획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과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 관계부처 차관 및 국내 치료제‧백신 분야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이날자로 출범한 범정부 지원단은 지난 4월 9일 대통령 주재로 개최한 ‘산‧학‧연‧병 합동회의’ 후속으로 설치‧운영되는 것이다.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이 없어 정부는 치료제와 백신이 코로나19 완전 극복을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라는 인식에 따라, 산(산업계)‧학(학계)‧연(연구기관)‧병(병원)과 정부의 상시적 협업 및 범정부 지원체계를 통해 정책 수단을 발굴해 집중 지원하고, 치료제‧백신 개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범정부 지원단은 치료제‧백신 개발상황 종합점검, 규제개선 및 연구개발(R&D) 등 범정부 지원 대책 수립, 코로나19 방역대응 관련 물품‧기기의 수급관리 및 국산화 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산하에 전문가 중심 실무추진단을 두고 ①치료제 ②백신 ③방역물품‧기기 분과로 나눠 산‧학‧연‧병 및 관계부처 협업 체계를 상시 운영한다.

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에 ‘기업 애로사항 해소 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해 국내 치료제‧백신 등 개발기업에 대한 1:1 밀착 지원을 제공한다.

이날 회의에 보고된 국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현황에 따르면 기존 약물의 적응증 확대(약물재창출) 연구 7종이 임상시험 진행 중이며, 신약개발 13건 등을 포함해 치료제 분야에서 약 20여 건의 주요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 분야에서도 10여 건 이상의 다양한 후보물질 개발 및 연내 임상시험 진입을 목표로 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국내 개발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앞서 실무추진단 회의를 통해 현장 의견을 수렴한 결과 정보‧기술 및 인프라 공유, 제도개선 및 R&D 지원 등 총 28개의 건의사항이 도출됐다.

정부는 이 건의사항들을 포함해 필요한 정책지원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며, 이날 범정부 지원단 제1차 회의에서는 이 중 시급한 제도 개선사항인 △임상시험 지원의 우선순위 기준 마련 △국내 치료제‧백신 및 방역물품‧기기 개발 전반에 걸친 전략을 담은 범정부 청사진 수립을 우선 추진키로 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는 쉽게 극복되지 않을 전망이며, 재유행 가능성도 높아 궁극적인 극복을 위해서는 치료제‧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라며 ““최근 코로나19 진단도구 수출 사례에서 보듯이 치료제와 백신 분야도 기업, 대학, 연구기관, 병원과 정부가 힘을 한데 모은다면 충분한 잠재력이 있는 만큼 범정부 지원단을 중심으로 규제개선, R&D 등을 위한 상시 협업체계를 가동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개발은 언제 성공할지 모르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 강조하고 “과기정통부는 약물재창출 전략을 통한 치료제 후보물질을 우선적으로 발굴하고, 백신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물론 이들의 효능분석을 위한 동물모델 개발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내 기업과 연구자들이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라 설명했다.

최 장관은 이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특성을 파악하는 기초연구부터 출연연이 보유한 실험시설을 기업 등에 공유하는 연구인프라 서비스와 기업의 R&D 애로사항 해소를 지원하는 ‘연구개발지원협의체’ 운영에 이르기까지 R&D전반에 걸쳐 코로나19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과 방법을 찾는 데 계속 전념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