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소아 간이식 100례 달성
상태바
세브란스병원, 소아 간이식 100례 달성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0.01.22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친 간이식 받아 건강 회복
퇴원을 앞두고 건강을 회복한 석준서 군과 의료진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뒷줄 왼쪽부터 환아의 부친인 석대호 씨, 소아감염면역과 강지만 교수, 소아소화기영양과 고홍 교수, 이식외과 인경·김명수 교수, 사진 앞줄 환아의 모친 박연주 씨, 석준서 군.
퇴원을 앞두고 건강을 회복한 석준서 군과 의료진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뒷줄 왼쪽부터 환아의 부친인 석대호 씨, 소아감염면역과 강지만 교수, 소아소화기영양과 고홍 교수, 이식외과 인경·김명수 교수, 사진 앞줄 환아의 모친 박연주 씨, 석준서 군.

세브란스병원 이식외과 인경·김명수 교수팀과 간담췌외과 한대훈 교수는 최근 생후 10개월 된 아기에게 혈액형이 다른 친모의 간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1999년 첫 번째 소아 간이식 이후 100번째 18세 미만 소아 간이식이다. 이번 수술은 새해 첫 소아 간이식이자 14번째 혈액형 부적합 소아 간이식이다.

2019년 3월 3.4kg의 정상 체중으로 태어난 석준서 군은 지속된 황달 증상을 겪다 담도 폐쇄증을 진단받고 간문부와 소장을 직접 연결해 간경변증이 진행되는 것을 막는 카사이 수술을 받게 됐다. 그러나 간경변증이 진행되고 담도염으로 입원 기간이 길어지면서 간부전이 임박해 A형 혈액형인 석준서 군은 1월2일 B형인 모친의 간을 이식받았다.

혈액형이 다른 간이식은 현재 생체 기증자를 이용한 간이식에만 가능하다. 먼저 이식 후 거부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탈감작요법(Desensitization)을 시행해 다른 혈액형의 간을 이식받았을 때 간을 공격할 수 있는 항체(antibody)를 걸러낸다. 또 항체가 생기지 않도록 약물(Rituximab)을 주입해 이식 후 부작용을 줄인다.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수술은 준비 과정 자체도 복잡하지만 소아의 경우 성인에 비해 이식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면역력이 약해 감염에 취약하고, 수술 전후 사용할 수 있는 약물도 제한적이다. 수술 부위가 상대적으로 작아 이식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성인보다 높고, 성인의 간을 이식 받을 때도 크기 차이로 이식이 힘들 수 있다.

석 군은 간이식 수술 후 복수가 조절되면서 몸무게는 8.5kg에서 7.5kg으로 돌아왔고 빌리루빈 수치도 7.8mg/dL에서 0.2mg/dL로 회복됐다. 치료가 끝난 아이는 건강을 회복해 1월21일 퇴원했다. 아이에게 간의 왼쪽 일부를 공여한 엄마 역시 건강을 되찾았다.

과거 이식을 받지 못했던 면역학적 고위험 환자들도 최근에는 장기 이식 수술에 성공하고 있다. 성인뿐 아니라 소아 이식 수술 건수도 10년 전 연평균 3~5례 정도였으나 최근 연평균 12례가량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전국 소아 간이식 수술의 20~30%가량을 차지한다.

인경 교수는 “어려운 수술이었지만 환아가 잘 견뎌줬고 무엇보다 간이식을 위한 모친의 체중감량 등 환자와 보호자의 노력과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며 “최근에는 혈액형이 달라도 성인 간이식 수술뿐 아니라 소아 간이식 수술 역시 가능하고 수술 결과도 점점 향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