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명 노출해 메르스 확산 그쳐’ 입증
상태바
‘병원명 노출해 메르스 확산 그쳐’ 입증
  • 최관식 기자
  • 승인 2020.01.03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기수 전 대변인, 메르스 당시 정보 공개 효과 확인한 논문 발표
2017년 1월 1339 콜센터를 방문한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사진 가운데)과 박기수 위기소통담당관(사진 왼쪽).
2017년 1월 1339 콜센터를 방문한 정기석 질병관리본부장(사진 가운데)과 박기수 위기소통담당관(사진 왼쪽).

2015년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당시 노출 병원명 공개가 환자 추가 발생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확인됐다.

투명한 정보 공개가 국민의 알권리 충족은 물론 감염병 자체의 확산을 방지하고 통제하는 기능까지 있음이 규명된 것이다.

박기수 전 질병관리본부 위기소통담당관(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학연구소 연구교수, 교신저자)과 노진원 교수팀(단국대 보건행정학과, 주저자)의 ‘감염병 예방 및 통제에 대한 정보공개 정책 효과: 대한민국의 2015년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논문이 최근 환경 및 공중보건 연구와 관련한 과학 학술지 IJERPH(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IF 2.668)에 게재됐다.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정보공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5월20일 첫 환자 발생부터 환자 발생이 종료된 7월5일까지의 일별 환자 발생 및 격리자 현황을 시계열 통계 방법을 이용해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 발생자 추세선이 첫 환자 발생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정보 공개 시점 이후부터 감소하는 추세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p<0.001)에서 확인됐다.

메르스 사태 당시 정부는 메르스 확진자가 첫 발생한 지 18일 만인 6월7일 환자가 발생한 병원 6곳과 환자가 경유한 병원 18곳 등 총 24개 의료기관의 이름을 긴급브리핑을 통해 공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박기수 연구교수는 “메르스 노출 병원명 공개가 메르스 환자의 추가 발생을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개는 단순히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차원을 넘어 감염병 자체의 확산을 방지하고 통제하는 기능까지 있음을 규명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 연구는 정보 공개와 관련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이 역학적 방역 수단과 동일하게 감염병 통제 및 예방 기능을 갖고 있음을 국내 연구에서 처음으로 입증했다”며 “향후 이와 유사한 감염병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보건당국은 물론 관련 기관에서 신속하게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감염병 통제 및 확산방지에 크게 기여한다는 증거 기반 정책(Evidence-Based Policy)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