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병원 구축 위해선 정보 공유와 수가 개발 필요
상태바
스마트병원 구축 위해선 정보 공유와 수가 개발 필요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9.08.21 2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도입 및 질 향상 초점 맞춘 수가 창출 제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병원계의 최대 화두는 단연코 스마트병원이다. 스마트병원을 위해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필요조건은 과연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국내 병원들이 실질적인 스마트병원이 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공유와 협력, 그리고 스마트 기술과 진료 적용을 위한 수가 개발이 정책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대한병원협회와 ㈜아이쿱은 8월21일 코엑스 컨퍼런스룸 307호에서 병원에서의료 데이터 활용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스마트병원 리더스 포럼 2019’를 공동 주최했다.

이번 포럼의 ‘MEET THE EXPERT'세션에서 윤재승 가톨릭의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스마트병원이 되려면 데이터를 한번에 핸들링 할 수 있도록 한곳에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은기 서울대병원 국제진료센터 교수도 이같은 의견에 동의했다. 외국의 경우 환자의 데이터를 공유·관리할 수 있는 국가적 공유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것.

김은기 교수는 “국제진료센터에서 외국인 환자를 진료하다 보면 일부 환자들이 다른 병원에 있는 자신의 진료 기록을 여기서는 왜 공유할 수 없는 지 묻는다”면서 “IT에 관심이 있는 국가에서는 환자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국가적 공유 시스템을 구축해 불필요한 검사를 방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김 교수는 “예를 들어 (상급종합병원)범위의 클러스터라도 환자의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만드는게 좋을 것 같지만 장벽이 많다”면서 “환자의 개인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어려움이 있지만 실현이 될 경우 도움 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 공유를 비롯해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플랫폼을 개발해 실제 환자 진료에 적용하려는 노력들은 계속되고 있지만 관련 수가가 없다는 것은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아이쿱을 이끌고 있는 조재형 대표(가톨릭스마트헬스케어 센터장)는 “스마트병원이 되려면 많은 부분들이 공유되고 호환되야 하는 만큼 비용도 많이 든다”며 “우리가 돈을 들여 새로운 것을 개발해 환자를 진료하고 예측하는 부분에 있어 건강보험 수가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이인규 서울성모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 병원이나 개발자에 의한 개별적인 움직임 보다는 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인규 교수는 “의료의 평가가 질 평가로 넘어가고 있다. 병원도 질적인 부분을 메인 이수로 하고 있고 환자에 대한 영양 상담 수가가 새로 생겼다”면서 “학회 등이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수가를 창출해 낼 수 밖에 없고 개별적으로 해서는 절대 정부가 움직이 않는 만큼 학회와 같이 접근을 하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준 연세의료원 차세대정보화사업단장도 보험수가를 개발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했다.

김광준 단장은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환자를 위해 개발한 것인데 이를 사용하고 유지하고 만드는 비용이 우리나라 건강보험시스템에서 보험수가 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김은기 교수는 “당뇨병 관리 앱은 환자 복지차원이 아닌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것처럼 수가를 책정 받는 것도 함께 진행하고 있지만 그 과정이 지연되고 있다”며 “기술적으로 상용화가 될 수는 있지만 정책인 부분들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