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수술 중 검사로 합병증 발생 0%로 낮춰
상태바
뇌전증 수술 중 검사로 합병증 발생 0%로 낮춰
  • 박해성 기자
  • 승인 2019.08.16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수술 중 신경계 변화 감지 100%
서대원 교수팀, 측두엽 절제 수술 환자 892명 추적 관찰
▲ 서대원 교수
측두엽 뇌전증 수술 중 ‘운동유발전위 검사’를 통해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대원 교수팀은 1995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측두엽 절제 수술을 진행한 892명 환자들을 추적 관찰해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이 실제로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인지 분석했다.

측두엽 절제 수술은 운동 신경계와는 거리가 멀지만 일부 1~3% 환자들이 편마비 등 합병증을 얻을 수 있기에 최근에는 합병증 발생 방지를 위해 신경생리과·외과·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진행한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은 신경생리검사의 하나인 유발전위검사에서 운동유발전위 검사와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를 이용한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는 두피에 설치한 자극전극을 통해 뇌 운동경로를 자극해서 양팔(엄지와 새끼손가락벌림근)과 양다리(전경골근과 엄지발가락벌림근)에 설치한 기록전극을 통해 근육 반응을 파형으로 기록하는 검사다.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는 손목 부위의 정중 신경과 발목 부위의 후경골 신경을 자극해 두피에 설치한 기록전극을 통해 감각 영역의 반응을 파형으로 기록하는 검사다.

삼성서울병원 수술 중 신경계 감시팀은 두 검사를 뇌전증 측두엽 절제 수술 동안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며 신경계 손상이 일어나는지 파형의 이상을 확인·감시했다. 파형 이상의 판단 기준은 기본 파형의 진폭이 수술 중에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삼았고, 만일 실시간 추적감시에서 파형의 진폭이 감소하면 바로 외과의사에게 알려 원인을 확인하고 구급 처치를 시행해 영구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했다.

신경 반응 진폭이 감소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과도한 견인(50%)이었으며, 그 외 뇌척수액 소실(30%), 저혈압(10%), 혈관수축(10%) 등과 같은 원인 모두를 응급처치를 통해 대처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병원에서 측두엽절제술을 시행한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시행하기 전에 수술을 받은 613명과 감시를 시행한 후에 수술을 받은 279명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비교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 시행 전 환자들 중 영구적인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은 총 7명이였다. 편마비 1명은 MRI 상 뇌기저핵 뇌경색이 원인이었다. 나머지 6명은 중증도는 경미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반신부전마비(3명)와 경도 반신부전마비(3명)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했다. 이들은 기저핵 외에도 미상핵, 시상, 속섬유막에 발생한 뇌경색이 원인이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진행한 환자들 중 진폭이 50% 이상 감소한 환자들은 총 10명 이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는 10명에서 모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고,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는 2명에서만 변화를 감지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로 이상 반응이 확인돼 바로 대처한 10명 환자들 모두 합병증이 1달 안에 회복됐다.

서대원 교수는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은 국내에서는 잘 정비된 보험 제도와 최근 발전된 ICT 기술이 접목되면서 뇌혈관, 뇌종양, 척추, 기능 뇌수술 등 뇌신경계 관련 여러 수술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며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이 난치성 뇌전증의 측두엽뇌절제술에서 ‘합병증 0%’로 효과적임이 이번 연구를 통해 증명된 만큼 적극적으로 활용돼 뇌전증 환자들과 많은 뇌신경계 질환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수술 받으면서 완치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7월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