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정보교류 참여의료기관 지역편중 심각
상태바
진료정보교류 참여의료기관 지역편중 심각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8.10.16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6개 시·도에만 거점문서저장소 구축
특정지역에 편중…환자편의도 ‘빈익빈 부익부’ 우려

정부가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사업을 2022년까지 확대키로 했지만 현재 참여의료기관 1천265개소가 특정 지역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나 보완대책 마련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사진)이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진료정보교류 참여의료기관 목록을 제출받아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참여기관이 특정 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거점문서저장소가 구축된 지역은 △서울(129개소) △부산(628개소) △대전(207개소) △대구(43개소) △경기(121개소) △전남(137개소) 등 6곳으로 인천·강원·충청·경상 지역 등은 진료정보교류사업이 추진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들 6개 권역 중에서도 서울과 경기, 전남에서 권역 내 특정지역 편중현상이 두드러졌다. 서울의 경우 129개 참여의료기관이 주로 마포구와 강남구, 은평구에 집중됐다. 경기에서도 성남시와 용인시 소재 의료기관 위주로 사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권역에서는 대부분의 참여기관이 광주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진료정보교류사업은 진료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환자의 진료기록을 다른 의료기관에 전자적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체계를 확립하는 사업으로, 정부는 이 체계를 기반으로 큰 병원에서 중증·고난도질환을 치료받고 중소병의원에서 지속적인 관리를 받는 협진모형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 의원은 “정부의 계획대로 대형병원과 중소병원 간 협진모형이 성공적으로 안착되려면, 무엇보다도 환자 생활권 내 중소병의원이 진료정보교류에 동참해야 실효성이 확보되야 한다”며 “현재처럼 특정지역에만 참여의료기관이 밀집될 경우, 해당지역 주민만이 진료정보교류의 편의를 누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신 의원은 “이 사업이 절실한 지역은 큰 병원에 내원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접경지역이나 도서산간 등 의료취약지”라며 “이들 지역의 중소병의원이 최우선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