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 DNA-P 전략 제시
상태바
과기정통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 DNA-P 전략 제시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8.08.08 19: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속적인 제도개선 및 대형프로젝트·실증시범사업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해 DNA-P 전략을 추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진흥과 이우진 과장<사진>은 8월8일 ‘2018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ospital Fair)’에서 열린 ‘한국형 인공지능 정밀의료의 시작’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과기정통부는 D(데이터), N(네트워크), A(AI, 인공지능)와 P(플랫폼)으로 이뤄지는 DNA-P 전략을 추진 중이라고 소개했다.

D는 데이터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개인의 건강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생성하고 축적하는 기능이다. N은 네트워크로 의료서비스 기기 제조사, 장비업체, 통신업체들이 상호 융합해서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질병을 예방 관리하는 부분이며 A는 AI, 지능화로 예측, 판독, 진단, 처방 등을 창출하는 것을 일컫는다.

또 P는 플랫폼으로 헬스케어 공급자인 기기 개발자와 서비스 제공자들과 수요자인 환자를 연결해주는 플랫폼을 말한다.

이날 이우진 과장은 이러한 DNA-P라는 전략을 통해 우리가 지향하는 미래의 병원을 현재의 과기정통부 지원하고 있는 사업과 연계해 환자의 진단, 치료, 사후관리까지 전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Our Hospital로 정의했다.

이 과장은 “여기서 말하는 Our는 On-time Universal Remote의 약자”라며 “온타임은 응급, 신속, 때에 맞는 것이라는 의미로 구급차 내에서 응급실로 가기전에 할 수 있는 응급처방전을 지원해 주는 서비스로 응급의료서비스를 위한 예산을 확보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U의 Universal은 표준, 보편적인 뜻으로 정밀의료병원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일컫다. 각 병원에서 현재 행정적인 부분이나 병원 진료 등 여러 가지 시스템이 상이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통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과장은 “1차병원에서도 3차병원 수준의 EMR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협약한 의료기관들에게 모두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사업을 위해 3년 동안 210억원 정도를 투입하고 있다”면서 “또한 마이테이터라고 하는 정보의 주체를 개인이 갖는 시범사업도 시행 중이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 과장은 “Remote는 굉장히 예민한 부분인데 면대면이 아닌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해서 다른 쪽에서 진료의 판단을 지원해 주는 서비스로 레퍼런스의 의미가 있다”면서 “이것이 바로 올해부터 서울아산병원이 총괄해 개발을 시작한 ‘닥터 앤서(Dr.Answer)’로 3년간 280억원을 지원한다”고 소개했다.

‘닥터 앤서(Dr.Answer)’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해 총괄주관병원인 서울아산병원을 비롯한 전국 25개 상급·종합병원과 19개 ICT-SW기업으로 구성된 ‘한국 데이터 중심의료 컨소시엄(K-DaSH: Korea Data and Software-driven Healthcare Consortium)’이 개발하는 AI기반 정밀의료솔루션이다.

특히 부처간 협업이 잘되고 있다면서 일부에서 우려하는 칸막이 문제에 대해 일축했다.

이 과장은 “향후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해 R&D부터 사업화, 제도개선을 위해 여러 부처들과 협의를 해나가고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함께 대형프로젝트, 실증시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면서 “일부에서 우려하는 부처간 칸막이 문제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서 그는 “부처간 협업은 잘되고 있다. 정부는 협업을 잘하고 있는데 일부 단체에서 이상한 시각으로 보는 부분이 많다”면서 “일부 시민단체에서 자신의 이권을 위해서 반대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스럽다”고 덧붙였다.

기관간 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체계의 부재에 대한 아쉬움도 나타냈다.

이 과장은 “우리나라 의료인력 및 기술의 경쟁력은 상당한 수준으로 ICT 기술과 접목한 세계 최고의 의료시스템을 갖추고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지만 기관간 연계가 부족하고 이를 위한 표준화 체계가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산재한 규제들로 AI, 5G, 클라우드 등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는 ICT 기술들과 융합하고 병원 헬스케어 분야에 기업들이 진출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헬스케어 활성화 전략으로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거점병원을 중심으로 한 진료정보 표준을 만드는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중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CDM이라고 하는 표준 방식을 이용해 바이오·헬스케어 통합 데이터망 구축에 역점을 두고 주로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