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대비한 남북 감염병 관리전략 필요
상태바
통일 대비한 남북 감염병 관리전략 필요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8.06.21 1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희영 서울대 부총장, Health Security 강조
통일을 대비한 남북 상호간의 감염병 관리전략이 통일 한국의 사회문제, 국가경제 문제와 연계한 최우선 계획이 돼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Health Security의 중요성이 언급됐다.

Health Security는 국제보건기구(WHO) 정의에 따르면 국민의 집단 건강을 위태롭게 하는 급성 공중 보건 사건에 대한 취약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사전 대응과 적극적인 대응활동이다.

신희영 서울대학교 연구부총장은 6월21일 오전 국회지구촌 보건복지포럼(대표의원 전혜숙)의 주최한 조찬강연에서 남북교류에 맞춰 기존의 안보(Security) 개념과는 차원이 다른 포괄적 Health Security 접근법이 요구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감염병이 국가 간의 경계를 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만큼 남북교륙 활성화로 인한 활발한 인구 이동으로 감염병 확산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남북교류가 활성화 되고 방북 인원이 급증하던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남한의 결핵 발생률이 동시에 급증한 사례와 함께 남북 경계인 접경지역에서 남북 공동 말라리아 방역사업을 통해 말라리아를 공동 통제, 관리했던 경험이 그 배경이다.

신 부총장은 “통일을 준비하는 남북통합, 교류 활성화 시대의 그 전제로 북한지역에 만연한 결핵, 말라리아, B형간염 등의 감염성질환과 남북 간 면역체계의 상이성으로 대비가 필요한 MERS 등의 신종감염성질환 및 각종 인수공통질환과 관련한 대책확보가 담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남북교류와 연계한 Health Security 대응이 필요하다는 게 신 부총장의 생각이다.

신 부총장은 “보건 문제가 국가와 영토, 국민의 문제, 노동생산성과 경제발전의 문제와 직결돼 있다”며 “통일을 대비하는 남북협력 시대에 맞춘 상호 감염병 관리전략은 통일 한국의 사회·국가경제 문제와 연계한 최우선 계획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서는 통일 한반도의 Health Security를 위해서는 통일이 이전 다양한 남북한 간 협력과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했다.

그 방안으로 신 부총장은 “휴전선 지역에 격리장소를 마련하고 공동 연구 시설을 남과 북이 함께 설립, 관리, 운영하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해야 한다”면서 “법률적으로는 남북한 보건의료 협정을 통해 남과 북의 관련 연구진이 사전에 교류·협력해 감염병 및 각종 질병, 보건이슈에 대한 감시, 리포트, 관리하는 과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그는 Health Security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남북한 휴전선 근처에 500병상 규모의 병원 설치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 참여한 대한병원협회 임영진 회장은 통일을 대비한 남북의료 사업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임 회장은 “병원협회는 북한 의료지원 사업뿐만 아니라 남북의료 사업을 준비하기 위해 현재 자체적인 TFT를 구성한 상태”라며 “남북의료 사업에 많은 지원을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