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예산에도 보건소 금연성공률은 뒷걸음질
상태바
사상 최대예산에도 보건소 금연성공률은 뒷걸음질
  • 오민호 기자
  • 승인 2018.06.18 15: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연클리닉, 2014년 49.2%에서 2017년 37.1%로 감소
반면 예산은 122.9억원에서 385.4억원으로 대폭 늘어

지난 2015년 담뱃세 인상으로 인한 국민건강증진 부담금 수입액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국가금연지원서비스 및 금연클리니 운영 예산 역시 크게 늘어났지만 금연선공률은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사진)은 6월18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 받은 ‘2013~2017 보건소 금연클리닉 예산 및 2017 6개월 금연성공률 현황’ 자료를 근거로 이같이 밝혔다.

국가금연지원서비스 예산은 2013년 89.6억원, 2014년 112.7억원에 불과했지만, 2015년부터 전년대비 12.8% 증가한 1146.8억원, 2016년 1365.0억원, 2017년 1479.8억원 등 담뱃세 인상을 기점으로 10배 이상 급증했다.

이에 따라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 예산도 2015년 261.5억원, 2016년 329.8억원, 2017년 385.4억원, 2018년 384.1억원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반면 최근 4년간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예산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 변동 폭은 미미했다.

2014년 122.9억원이 투입됐을 때 43만9971명이었던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수는 2015년 담뱃세가 인상됐을 때 1.3배 증가했지만 2016년 1.4배 감소한 41만1677명 그리고 385.4억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의 예산을 투입한 2017년은 42만4636명에 불과했다.

2014년과 비교해 2017년 예산은 3.2배 증가했지만 등록자수는 오히려 감소한 셈이다.

또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사람들의 금연성공률도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하락세로 돌아섰다.

2014년을 기준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결심자수는 43만4392명인 데 반해 6개월 동안 금연을 유지한 성공자수는 21만3683명으로 금연성공률은 49.2%를 기록했지만 2015년에는 결심자수 55만6578명 중에 24만1890명이 성공해 43.5%의 금연 성공률을 보였다.

이어 2016년에는 40.1%만이 6개월 동안 금연에 성공했고, 2017년에는 금연성공률이 37.1%에 불과해, 금연성공률이 매년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설금연클리닉의 금연성공률은 2015년 44.4%, 2016년 41.2%, 2017년 38.1%로 점차 감소했고 이동금연클리닉의 금연성공률도 2015년 38.5%에서 2016년 36.2%, 2017년 33.2%로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보건소 253개소에서 운영 중인 금연클리닉의 6개월 금연성공률 평균은 16.79%로 나타났다.

이중 평균 이하의 금연성공률을 보인 곳은 경기 부천시, 경기 이천시, 경북 울릉군, 경기 연천군, 전남 고흥군, 경북 의성군, 경기 남양주시, 서울 관악구 보건소 등 총 8곳으로 드러났다.

특히 경기 부천시, 경기 남양주시, 서울 관악구, 서울 강서구 보건소 등은 등록자가 3천명이 넘었지만 다른 지역과 비교해 금연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경북 울릉군, 경기 연천군, 전남 고흥군, 경북 의성군, 경북 군위군, 경남 의령군 보건소 등의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 성공자 수는 100명 미만이었다.

2017년을 기준으로 기준 금연성공률이 시도별로 최대 29.4%의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금연성공률을 보인 시도는 대전시로 53.0%, 인천 47.4% 순이었으며, 가장 낮은 시도는 세종 23.6%, 서울 30.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 의원은 궐련형 전자담배가 금연클리닉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정부의 실책도 지적했다.

정부는 금연클리닉 등록 시 흡연 담배제품군에 궐련형 전자담배 항목이 지난 4월부터 추가돼 금연클리닉 통계에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 등록자는 아직 포함되지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나 궐련형 전자담배가 국내에 출시된 시점이 2017년 6월5일임을 감안하면, 금연클리닉 후속 조치가 궐련형 전자담배의 시장 출시보다 사실상 10개월 정도가 늦어져 정부의 가격 규제와 광고 등 비가격 규제에는 앞섰지만 정작 금연치료정책에는 늦장 대응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는 게 김 의원의 생각이다.

김 의원은 “금연클리닉 성공률이 지속해서 하락하는 것과 함께 요즘 문제가 되는 궐련형 전자담배 흡연자의 금연클리닉 등록이 늦어진 것도 문제”라며 “정부가 세금과 광고규제 등의 규제에만 신경을 쓸 게 아니라 흡연자들이 성공적으로 금연할 수 있도록 시장 변화에 맞게 금연클리닉 사업도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