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앱 통해 코골이 개선 및 체중감량
상태바
모바일 앱 통해 코골이 개선 및 체중감량
  • 윤종원 기자
  • 승인 2018.05.08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팀
▲ 김정훈 교수가 모바일앱 헬스포유와 연동된 병원정보시스템을 이용해 환자 데이터를 토대로 생활습관 관련 조언을 해주고 있다.
모바일 앱을 통한 생활습관 관리가 코골이 개선과 체중감량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 가정의학과 정세영 교수, 의료정보센터 유수영 교수팀은 병원 EMR과 연동된 모바일 앱으로 환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관리해왔다.

연구팀은 2016년 7월에서 11월까지 시행된 무작위 임상시험을 통해 습관적인 코골이 혹은 수면 무호흡 증세를 보이는 20세 이상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체중 감량을 할 수 있도록 조언해주고 4주 동안 추적 관찰했다.

이 중 23명은 앱을 사용하지 않고 생활습관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의료진으로부터 상담을 받았으며, 24명은 상담에 더해 손목 활동 추적기를 통해 운동량을 관리했고, 식이 섭취량과 기타 일상생활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앱을 사용했다.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체중감량 연구를 진행한 이유는 비만이 수면 무호흡증 위험을 크게 높이며 체중을 감량하는 것이 증상을 완화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앱을 사용한 24명 중 22명이 체중감량에 성공했으며 앱을 사용하지 않은 그룹 23명은 9명이 체중을 감량하는데 그쳐, 모바일앱을 사용한 그룹에서 체중 감소 성공률이 더 높았다.

또한 모바일앱을 사용한 그룹에서만 코골이 시간이 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앱을 사용한 그룹에서는 45dB 이상으로 심하게 코를 고는 시간의 비중이 16.7%에서 10.2%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반면 앱을 사용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15.9%에서 13.2%로 감소해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를 주도한 이비인후과 김정훈 교수는 “모바일앱을 이용한 그룹의 경우 병원 EMR과 앱의 연계를 통해 환자의 식사량과 신체 활동량 등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의료진 입장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에게 생활습관 개선을 장려할 수 있었고 환자들도 의료진과 함께 실제 데이터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 맞춤형 조언을 듣는 것에 더해 이를 모바일앱에서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서 더 큰 동기가 부여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연구 결과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스마트장비를 활용해 취득한 개인의 식습관, 운동량 같은 방대한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의료 영역에서 활용한 사례로 최근 의료계에서 미래의학의 핵심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헬스’, ‘정밀의료’의 일환이라는 평가다.

정밀의료란 개개인의 라이프 스타일, 유전체, 병원 정보 등이 축적된 빅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해 질병 발생을 예방, 예측하고 개인의 특성에 맞춰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정보의 양이 방대한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활용했을 때 효과적인 맞춤형 진료 및 치료를 기대할 수 있다.

김정훈 교수는 “기존에는 제한된 진료시간에 환자들의 기억에 의존해 라이프스타일 정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컸을 뿐만 아니라 진료에 활용하는데에도 한계가 컸으나,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 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헬스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앞으로는 객관적으로 축적된 라이프스타일 정보에 기반해 맞춤형 진료를 시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연구에서 사용된 모바일앱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개발한 스마트 건강 플랫폼 ‘Health4U(헬스포유)’에 통합되어 환자의 라이프스타일 관리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이 앱을 통해 매일 신체 운동량(걸음 수), 체중, 수면시간, 스트레스, 혈압, 당뇨 수치 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언제든 식이 상태를 확인하고 하루 섭취 허용량 및 일일 목표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신체 활동량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한 개발중에 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CEO(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2018년 1월 온라인판에 실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