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비만지수, 국가참조표준에 등록
상태바
한국인 비만지수, 국가참조표준에 등록
  • 윤종원 기자
  • 승인 2016.12.20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보공단,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등 참조표준 개발
서울에 거주하는 A씨(신장 160cm, 체중 59kg, 40세 여성)는 최근 부쩍 늘어난 체중 관리를 위해 자신의 비만도를 알아보기로 했다.

확인결과 A씨의 비만도는 23.05kg/㎡으로 정상에 가까운 과체중이었다. A씨는 자신의 비만도를 유사한 그룹(동료집단) 여성들과 비교하고 싶었으나 마땅한 건강지표가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개발한 지역별, 성별, 연령별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을 활용해 동일 지역, 동일 연령대의 여성들과 비교하여 체계적인 비만관리를 계획할 수 있게 됐다.

2010년 헬스케어 사업을 시작한 B업체도 최근 신제품 개발을 위해 이 자료를 활용할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을 12월16일 국가참조표준으로 등록했다.

공단은 산업통상자원부(국가기술표준원)로부터 한국인 건강지수 데이터센터로 지정(2015년 1월)받아 첫번째 참조표준 개발을 추진했고, 그 결과 한국인 비만지수의 ‘국가참조표준’ 등록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측정·수집된 신체계측 데이터를 활용해 개발한 지수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가 있으며,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비만정도는 사망원인 및 질병이환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된다.

비만과 관련된 이환 질환에는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고지혈증, 심뇌혈관계 질환, 관절염, 통풍, 수면무호흡증, 월경불순, 불임, 각종 종양 등이 있다.

공단은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 개발을 위해 일반 건강검진 및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을 실시해 축적한 1천640만명의 건강검진 자료(2013~2014년)를 활용했다.

대규모로 수집된 신체계측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인의 비만정도를 반영하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공단은 임상전문가, 통계학자, 측정 및 표준전문가들로 구성된 한국인 비만지수 전문위원회를 운영했고, 국가참조표준센터(센터장 채균식) 기술위원회를 통해 비만지수 참조표준 데이터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확보했다.

특히 기존 건강검진 자료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오차 범위, 즉 반복 측정으로 인한 불확실성 및 장비의 오차 범위를 반영한 불확도(합리적인 추정값)라는 개념을 적용해 이전보다 더욱 정교화된 자료를 공개했다.

공단은 비만지수 등록에 앞서 ‘국가건강검진 신체계측 데이터’ 라는 명칭으로 비만지수 원시자료를 2016년 3월에 공개해 비만지수에 대한 실제 수요자들(국민, 학계, 산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을 활용할 경우 연령별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분포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체질량지수의 경우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금씩 감소하고,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남성은 75분위 곡선이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체질량지수 25 kg/㎡) 범위에 속해 1/4 이상 인구가 비만에 해당되는 반면, 여성에서는 20대에서 75분위 곡선이 정상 범위에 속하다가 40대 중반부터는 비만 범위에 속했다.

허리둘레의 경우 남성은 연령의 증가와 관계없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허리둘레도 증가했다.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은 향후 국민의 건강수준 향상과 건강관련 소프트웨어, 의료/의약품, 헬스케어 제품의 생산 등 각종 산업에 활용해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지역․성․연령별로 지표를 제공하기 때문에 비만의 사회, 경제적인 요인 분석 등 비만의 원인을 찾는 연구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 등록에 이어 혈압·혈당데이터의 참조표준 개발도 추진하고 있으며, 분석자료를 근거로 건강검진의 질 관리도 진행 중이다.

올해에는 그동안 관습적으로 기록하던 5mmHg, 10mmHg단위의 혈압 측정수치를 2mmHg 단위로 기록하도록 계도해 전년도 동 기간 대비 58% 이상 개선하는 성과를 거두었고 향후에도 건강검진의 질관리를 위해 검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공단은 앞으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건강서비스 제공과 보건·의료분야 국가표준역할 수행을 통해 공공데이터의 활용가치를 촉진하고, 개방·공유·소통·협력의 정부3.0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내년 1월부터 ‘나의 비만지수 알아보기’ 등 사용자들을 위해 간편한 자가 건강관리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공단은 이달 말, 건강검진 지정기관에 검사실 비치용(38*52cm크기) 한국인 비만지수 참조표준 포스터를 배부해 수검자들이 비만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