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의약외품 생산실적 1조8천억원
상태바
지난해 의약외품 생산실적 1조8천억원
  • 최관식 기자
  • 승인 2016.06.22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4년 대비 12% 증가.. 무역수지흑자는 2014년 대비 37% 줄어든 1천255억원
20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이 지난해 대비 12% 증가한 1조 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보건위생관련 품목의 성장세가 뚜렷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이 1조 8천562억원으로 2014년의 1조 6천579억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6월22일 밝혔다.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 대기 중 황사·미세먼지 증가 등으로 보건위생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치약제, 보건용 마스크 등의 생산실적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보건위생, 콘택트렌즈관리용품 관련 제품 큰 폭 상승 △치약제, 생리대 등 상위 5개 품목이 생산실적 대부분 차지 △생산실적 1위 업체, 품목 전년과 동일 등이다.

보건위생 관련 제품 중 마스크는 90억원에서 190억원으로 111%나 증가했고, 손소독제 등 외용소독제는 166억원에서 339억원으로 104%, 감염병 예방용 살균소독제도 10억원에서 20억원으로 100%로 급증했다.

이러한 증가세는 봄철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 증가,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 국내 유입으로 위생관리 중요성이 높아지고 국민관심이 증가해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또 콘택트렌즈관리용품(콘택트렌즈 제외) 생산실적은 2015년 259억원으로 2014년의 84억원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수입제품이 국내 생산제품으로 일부 대체됐고 패션과 미용에 관심이 높은 젊은층의 콘택트렌즈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치약제, 생리대, 내복용 제품, 염모제, 탈모방지제 등 5개 품목군의 생산실적은 1조 4천735억원으로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전체 생산실적의 80%를 차지했다.

특히 치약제는 2014년의 4천281억원에 비해 29.5%나 증가한 5천545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의 29.9%를 차지했으며, 생리대 2천739억원(14.8%), 내복용제제 2천729억원(14.70%), 염모제 2천227억원(12.0%), 탈모방지제 1천495억원(8.1%) 순이었다.

생산실적 4위 내에 있는 업체는 2013년 이후 변동이 없는 가운데 (주)아모레퍼시픽(3천317억원), 엘지생활건강(2천809억원), 동아제약(주) (2천801억원), 유한킴벌리(1천216억원)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 업체의 생산실적은 전체 생산실적의 55%에 달했다.

국내 생산실적 1위 품목은 2014년과 동일하게 동아제약(주) ‘박카스디액’(1천664억원)이었으며, ‘페리오캐비티케어플러스치약’(752억원), ‘메디안어드밴스드타타르솔루션치약맥스’(706억원), 박카스에프액(536억원)이 뒤를 이었다.

2011년 일반의약품에서 의약외품으로 전환된 ‘박카스에프액’과 ‘박카스디액’ 전체 생산액은 2천200억원으로 의약외품 생산의 11.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흑자 규모는 2015년 1천255억원으로 2014년의 1천991억원 대비 37% 감소했다. 이는 수출이 줄어든 반면 치약제, 마스크 등 위생관련 용품, 금연보조제 등의 수입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손문기 식의약처장은 “신종 감염병 발생 증가 등 사회 환경 변화로 의약외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의약외품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안전과 무관한 규제는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